신경망 학습

신경망이 잘 학습되고 있는지 보여줄 수 있는 손실함수(loss function)과 가중치 매개변수 조정을 통해 손실함수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nackta true
2022-06-21

1️⃣ 손실함수란

신경망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신경망은 손실함수를 통해 최적의 매개변수 값을 탐색합니다.

오차제곱합(sum of squares for error, SSE)

\[E = \frac{1}{2}\Sigma{(y_k-t_k)^2}\]

\(k\) : 데이터 차원의 수

\(y_k\) : 예측 값

\(t_k\) : 실제 값

SSE는 주로 regress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여기서 \(\frac{1}{2}\)을 곱해주는 이유는 컴퓨터에서 미분을 수월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크로스 엔트로피(cross entropy error, CEE)

\[E=-\Sigma{t_k\log{y_k}}\]

\(k\) : 데이터 차원의 수

\(y_k\) : 예측 값

\(t_k\) : 실제 값

하지만 컴퓨터에서 구현될 때는 다음과 같이 delta를 추가합니다. log안에 값이 0이라면 -inf가 되어 더 이상 계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아주 작은 값 delta를 더해서 이를 방지합니다.

def cross_entropy_error(y, t):
    delta = 1e-7
    retrun -np.sum(t * np.log(y + delta))

경사하강법(gradient descent method)

신경망에서 최적의 매개변수는 손실함수가 가장 낮은 값을 취하도록 작용해야합니다. 이를 위해 초기값 위치에서 손실함수의 기울기를 구해 최솟값을 찾아 초기값을 갱신하는 방법으로 매개변수를 최적화합니다. 만약 매개변수가 2개라면,

\[x_0 = x_0-\eta\frac{\partial f}{\partial x_0} \\ x_1 = x_1-\eta\frac{\partial f}{\partial x_1}\]

\(\eta\) : 학습률(learning rate)

위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면서 서서히 손실함수의 값을 줄여갈 수 있습니다. 학습률은 한 번 학습할 때마다 매개변수의 값을 얼마나 갱신할지를 정하는 값입니다.

미니배치(mini batch) 학습

손실함수, 기울기, 경사하강법을 알았다면 간단한 신경망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미니배치 방법을 추가하면 좀더 효율적인 학습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각 데이터별로 손실함수를 구하는 것은 버거울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을 반복할 때마다 훈련데이터의 일부(미니배치)만을 추출해서 학습하는 것을 미니배치 학습이라고 합니다.

미니배치를 통해 경사하강법으로 매개변수를 갱신하게 되면 무작위로 선정된 데이터를 학습하게 되므로 확룰적 경사하강법(stochastic gradent descent, SGD)라고 합니다.

Citation

For attribution, please cite this work as

nackta (2022, June 21). nackta blog: 신경망 학습. Retrieved from https://nackta.github.io/til/2022-06-21-dlfromscratchch4/

BibTeX citation

@misc{nackta2022신경망,
  author = {nackta, },
  title = {nackta blog: 신경망 학습},
  url = {https://nackta.github.io/til/2022-06-21-dlfromscratchch4/},
  year = {2022}
}